췌장암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암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들어 생활방식이 서구화되면서 췌장암 환자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남성은 9.8명, 여성은 8명이 췌장암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 췌장암은 암 발생 순위 8위, 사망률 5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연령이 높을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데, 60~70대 환자에게서 주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췌장암은 생존율이 가장 낮은 암으로도 알려져 있다. 미국암학회에 따르면 췌장암에 걸린 사람의 11%만이 진단 후 5년 동안 생존한다. 췌장암은 진단이 어렵고, 널리 퍼진 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암이 항상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습관은 췌장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이 때문에 췌장암 예방을 위해 특정 습관은 피하는 것이 좋다.
흡연
흡연은 췌장암의 가장 큰 위험 요소 중 하나다. 췌장암 행동 네트워크에 따르면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보다 췌장암에 걸릴 확률이 2배가 높다.
지나친 음주
만성 췌장염은 췌장암 발병의 위험 요소다. 췌장염을 유발하는 습관 중 하나가 지나친 음주다. 하루 3잔 이상의 술을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췌장암 발병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술을 마시지 않거나 적당히 마실 것을 권장한다. 남성의 경우 하루 두 잔, 여성의 경우 하루 한 잔 이하다.
가공육 섭취
과도한 양의 적색육 및 가공육을 먹으면 췌장암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가공육 섭취를 매일 50g 늘리면 암 위험이 1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일과 채소가 많이 함유된 식단은 암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탄산음료
몇몇 연구에서는 탄산음료와 췌장암 사이의 연관성이 있다는 결과를 내놓고 있다. 다만 이는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비만과 당뇨병을 포함한 많은 질병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칼로리가 높은 탄산음료를 너무 많이 마시지 말 것을 권장한다.
튀어나온 뱃살
비만인 사람들은 정상 체중의 사람들에 비해 질병 발병 위험이 20%나 증가한다. 비만이 아니더라도 과도한 복부 지방이 있는 경우에는 그 위험이 증가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복부 지방이 많은 여성은 췌장암에 걸릴 확률이 70% 더 높았다. 이는 복부 지방이 대사적으로 활성화되어 독소와 호르몬을 간과 췌장과 같은 중요한 기관으로 방출한다는 사실 때문일 수 있다.
화학물질
각종 용매제, 휘발유와 그 관련 물질, 살충제(DDT)와 베타나프틸아민(β-naphthylamine), 벤지딘(benzidine) 등의 화학물질도 췌장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석탄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많이 노출된 사람은 췌장암 발생률이 매우 높다. 탄소 연료인 코크스를 취급하는 사람들에게도 대장암과 췌장암이 많고, 석탄이나 타르 관련 작업자, 금속 제조나 알루미늄 제분 종사자, 기계를 수리하거나 자르거나 깎는 작업을 하는 경우도 췌장암 발생 위험성이 높다는 보고들이 있다. 아울러 방사선 노출 또한 위험인자로 여겨진다.
췌장암 증상
복통, 식욕부진, 체중감소, 황달 등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종양의 위치와 크기, 전이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췌장암 환자의 대부분에서 복통과 체중 감소가 나타난다. 췌두부암 환자는 대부분 황달이 나타난다. 췌장의 체부와 미부에 발생하는 암은 초기에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시간이 지나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지방의 불완전한 소화로 인해 기름진 변을 보기도 하고, 식후 통증이나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소수의 환자에게서는 위장관 출혈, 우울증, 표재성 혈전성 정맥염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 건강] 노령견이 주의해야할 질병 6가지-노령견 건강 (0) | 2022.06.03 |
---|---|
[반려동물 건강] 강아지 당뇨병-당뇨 합병증/치료 (0) | 2022.06.03 |
[건강] 장수하는 사람들이 매일 먹는 음식 9가지 (0) | 2022.06.02 |
[반려동물 건강] 강아지 치매/강아지 인지기능장애-치매 예방법/진단 (0) | 2022.06.02 |
[반려동물 건강] 강아지 진드기 매개 질병-바베시아/아나플라즈마/라임병 (0) | 2022.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