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의 췌장염은 생각보다 흔한 질환입니다. 급성 췌장염의 통증은 상당히 심각하기 때문에 강아지들의 생활의 질을 매우 떨어뜨립니다. 이 때문에 보호자들이 증상을 빠르게 파악하고 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강아지들이 췌장염에 걸렸을 때 어떤 증상을 보이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췌장염이란 ?
췌장은 위장에 인접한 복부의 오른쪽에 있는 중요한 장기입니다. 췌장은 음식 소화를 돕는 효소와 혈당이나 포도당 대사를 조절하는 인슐린과 같은 호르몬을 생산합니다. 소화 효소는 소장으로 분비되고 호르몬은 혈류로 들어갑니다.
이 췌장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췌장염이라고 합니다. 급성 혹은 만성일 수 있고, 급성의 경우 빠르게 회복되지만 종종 재발되기도 하고 췌장염의 상태가 오래가는 만성으로 발전되기도 합니다.
췌장염의 원인
일반적으로 췌장 효소는 비활성 상태에서 생성되어 췌관을 통해 소장의 일부인 십이지장으로 이동합니다. 이 췌장 효소가 소장에 도착하면 활성화됩니다. 췌장염의 경우 이러한 효소가 췌장에서 조기 활성화되면서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같은 문제 상황은 주로 기름진 식사나 스테로이드 투여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췌장염의 증상
췌장염에 걸린 강아지는 메스꺼움, 구토, 발열, 혼수, 복통, 설사 및 식욕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심할 경우 발작을 일으키기도 하고 급성 쇼크와 심지어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췌장염 진단
일반적으로 혈액검사상 백혈구가 증가된 상태가 나타난다. 하지만 백혈구 증가는 췌장염 이외의 다른 질병으로 인해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염증수치(CCRP)와 췌장염 수치(CPL),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등의 수치를 확인해서 진단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복부 초음파를 통해서 진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만성 췌장염의 경우 초음파상으로는 확인이 잘 되지 않습니다.
췌장염 치료
췌장염은 통증이 상당히 심하기 때문에 빠른 진단 이후 치료에 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통증 조절을 위한 진통제와 함께 정상적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수액이 투여된다. 구토나 설사 등이 동반되는 경우 이에 맞는 약물이 투여되고, 감염이 의심될 경우 항생제도 쓸 수 있다.
대부분 2~4일정도 정맥 수액과 약물 치료를 하게 되면 상태가 호전된다. 심한 출혈성 췌장염의 경우 쇼크 반응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공격적인 정맥 주사와 함께 약물을 통한 집중 치료가 필요하다.
췌장염 예방법
강아지가 평소 기름진 음식과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소화기계에 무리가 가지 않기 위해, 너무 많은 양의 간식은 주지 않는다. 특히 췌장염에 잘 걸리고 소화기관이 예민하다면 저지방 사료로 지방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제철음식-무더운 날씨, 제철음식으로 이겨내요 (0) | 2022.07.02 |
---|---|
퍼스널컬러 진단 가격? 무료로 진단받는 법 알려드려요 (0) | 2022.06.25 |
배가 자주 아프다면? '과민성 대장증후군'-저포드맵 식단 (0) | 2022.06.18 |
출산만큼 아프다고? '요로결석' 증상과 원인-요로결석 예방법 (0) | 2022.06.17 |
천연 소화제 '매실'; 이렇게 먹으면 '독'이 된다-매실 효능/매실 부작용 (0) | 2022.06.16 |
댓글